남과 다르다면
남과 다르다면
전설적인 재즈 기타리스트 장고 라인하르트,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인 아버지와 댄서인 어머니 밑에서 줄곧 음악을 들으며 자랐다.
가난한 데다 유랑 극단을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았지만 음악이 있어 행복했다.
비극은 그가 열여덟 살 때 찾아왔다.
극단에 불이 나면서 무시무시한 화마가 그를 덮친 것
그는 왼쪽 팔다리에 심한 화상을 입고 왼쪽 손가락 두 개를 잃었다.
음악은 커녕 삶에 대한 의욕까지 잃어가던 어느 날, 동생이 기타라는
낯선 악기를 선물했다.
"형 실력이면 두 손가락이 없어도 분명 좋은 소리를 낼 거야."
그날부터 기타 연습을 시작했다.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손가락 때문에
기타를 내던지며 울부짓다 또다시 집어 들길 여러 해, 하루도 몇 번 씩 깊은 절망에 빠졌지만
아름다운 기타 선율에 매혹돼 연습을 포기할 수 없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나는 남들과 다르니까 나만의 연주법을 찾아야해.'
쉴새없이 손을 움직이며 자신에 맞는 연주법을 찾아 헤맨 그는
마침내 두 손가락을 끌면서 지판을 이동하는 새로운 연주법을 만들어 냈다.
이 연주법으로 유럽 곳곳을 떠돌며 자신만의 음악을 조금씩 완성해 나간 장고 라인하르트,
아픔이 담긴 그의 연주는 오늘날까지도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준다.
그의 이름을 딴 장고 라인하르트상'이 유럽의 권위 있는 재즈 상으로 꼽히는 이유도
그의 땀과 열정, 눈물을 잊지 않기 위함이다.
월간 좋은 생각
|
살아 있는 씨앗
교육자 그룬트비가 모든 젊은이에게 교육의 혜택을 주기 위해 설립한
덴마크 국민고등학교, 국민고등학교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콜드는 명쾌하고
알아듣기 쉬운 강의로 많은 젊은이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 주었다.
하지만 특이하게 강의 내용을 필기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평생 한 권의 책도 남기지 않았다.
한번은 강의를 듣던 학생이 물었다.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그때마다 선생님 말씀을 기록해 두지 못하는 것이 아쉽습니다."
그러자 콜드는 미소지으며 말했다.
"걱정 말게, 땅속에 묻는 하수관은 땅위에 표시해 두어야 찾을 수 있지만
살아 있는 씨앗은 표시해두지 않아도 반드시 싹을 틔우는 법일세.
내 말이 산 것이라면 어느 때고 자네의 삶 속에서 되살아날 것이 분명하네."
월간 좋은 생각